본문 바로가기
경제학공부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① -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feat. 맨큐의 경제학)

by 쭈토피아 2021. 12. 19.
728x90
반응형

“경제”란 신비로운 것이 아니다. 경제란 살아가면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한 경제의 움직임은 그 경제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 기획재정부 블로그

 

◇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1.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우리는 무엇을 얻고자 하면, 그 대가로 무엇을 포기해야 한다. 의사결정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어떤 목표를 포기해야 한다.

개인이던 사회든 중요한 자원을 우선순위로 어떻게 선택하고 포기하는지가 중요하다.

 

사람들이 항상 선택을 해야 한다는 사실 그 자체가 사람들이 어떤 의사결정을 내릴지,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 지 말해주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심리학 공부를 포기하면 경제학을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고 해서 심리학 공부를 포기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환경보호를 위한 정부규제가 우리의 물질적 생활수준을 낮춘다고 해서 환경보호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가난한 사람을 도와주는 것이 그들보다 여유있는 사람들의 일할 유인을 줄인다고 해서 이를 포기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자신이 어떤 선택을 할 수 있는지 알 때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 매일경제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2. 선택의 대가는 그것을 얻기 위해 포기한 그 무엇이다.

 

모든 일에는 대가가 있기 때문에 올바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다른 대안을 선택할 경우의 득과 실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선택의 대가는 그리 분명하지 않다.

 

ⓒ 사이다경제

기회비용이란 어떤 선택을 위해 포기한 모든 것을 의미한다. 대학 진학의 예와 같이 어떤 의사결정을 할 때 올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가능한 모든 선택에 대한 기회비용을 정확하게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사실 사람들은 대부분 그렇게 행동한다고 할 수 있다. 대학에 갈 나이가 된 운동선수 중에 프로에 진출하여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선수들은 대학 진학의 기회비용이 매우 크가는 것을 잘 안다. 따라서 대학 공부의 혜택이 비용에 비해 크지 않다고 판단하여 대학 진학을 포기하는 경우가 꽤 있다.

 

 

3. 합리적 판단은 한계적으로 이루어진다.

 

합리적인 사람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기회를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하여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사람들이다. 합리적인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의사결정이 흑백논리에 따라 분명하게 결정되지 않다는 것을 안다. 예를 들어 저녁식사를 하려고 할 때 여러분이 내려야 할 결정은 굶을까 돼지처럼 많이 먹을까라기보다는, 식사 중에 밥이나 반찬을 좀더 먹을까말까 하는 것이다. 시험을 준비할 때의 의사결정은 시험을 포기할까 24시간 내내 공부할까가 아니라 지금 한시간 더 공부할까 TV를 볼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들이 행동이나 현재의 계획을 조금씩 바꾸어 적응하는 것을 한계적 변화라고 부른다.

 

왜 다이아몬드는 값이 비싸고 물은 쌀까? 물은 사람들의 생존에 필수적이지만, 다이아몬드는 그렇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물을 살 때 보다 훨씬 많은 돈을 지불해서라도 다이아몬드를 사려고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들이 어떤 물건에 대해 기꺼이 지불하려는 금액은 현재 상태에서 그 재화 한 단위가 주는 추가적인 이득, 즉 한계이득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계이득은 지금 그 사람이 그 재화를 얼마나 많이 소비하는가에 영향을 받는다. 다이아몬드는 생존에 필요한 물건은 아니지만 너무 귀하기 때문에 다이아몬드의 한계이득은 큰 것이다.

 

합리적인 사람은 어떤 의사결정에 따른 한계이득이 한계비용보다 클 때만 그 대안을 선택할 것이다.

 

 

4. 사람들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경제적 유인이란 처벌 가능성이나 보상과 같이 사람이 행동하도록 만드는 그 무엇을 의미한다. 합리적인 사람은 어떤 행동을 하고자 할 때 그 행동에 따른 이득과 비용을 비교해서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에 경제적 유인에 반응한다. 경제적 유인은 경제학 분석에 중심적 역할을 한다.

 

경제적 유인은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분석하는 데도 중요하다. 휘발유 가격의 상승에 대한 예를 들어보면 휘발유 가격이 상승하자, 소비자들이 경차구매를 늘리고, 스쿠터의 판매도 증가했다. 그리고 새 자전거 판매는 감소한 대신, 수리점은 바빠졌다. 대중교통 이용자가 늘어났다. 그리고 주택 구입에도 영향을 미쳤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