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스크4

레버리지의 양날의 검, 기회인가 위험인가? 분산투자를 하면 위험이 줄지만 기대수익도 줄어든다. 이와 반대로 레버리지를 이용해 기대 수익과 함께 위험을 높이는 투자 전략도 있다. 레버리지(leverage)는 지렛대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로, 지렛대를 이용하면 적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움직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의 과학자 아르키메데스는 “지렛대와 지렛목만 있으면 지구도 들어 올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레버리지와 이익 금융에서는 실제 가격 변동보다 몇 배나 많은 투자 수익이 발생하는 현상을 레버리지 효과라고 한다. 레버리지 효과가 발생하려면 투자 자금 중에 일부를 자기 자본이 아닌 부채로 조달해야 한다. 자기 돈 100만원으로 주당 10,000원 하는 주식 100주를 매입한 다음 12,000원에 매도했다고 하자. 주가가 20% 상승할 때, 투자자도.. 2022. 3. 6.
장기투자와 위험(리스크), 주식과 채권 위험과 수익은 포트폴리오 관리의 기초 개념이다. 투자 대상 자산의 위험과 수익을 알면 최적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는 것이 현대 포트폴리오 이론의 핵심이다. 문제는 투자 자산의 수익과 위험이 절대적이지 않으며, 투자 기간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이다. 위험과 보유 기간 흔히 채권이 주식보다 안전하다고 말한다. 과연 그럴까? 이는 ‘안전’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단기 변동성이 낮으면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또 어떤 사람은 단기 변동성은 높더라도 장기적으로 투자 목표를 달성할 가능성이 높으면 안전하다고 여길 수 있다. 1925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와 S&P500의 연평균 수익률과 표준편차를 투자 기간에 따라 비교한 자료다. 먼저 10년 만기 국채에.. 2022. 2. 18.
주식, 분산 투자를 꼭 해야 하는 이유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돈을 셋으로 나누게 하되, 3분의 1은 토지에, 3분의 1은 사업에 투자하게 하고, 나머지 3분의 1은 예비로 남겨두게 하라.” 이는 2,000년 전에 쓰여진 《탈무드》에 나오는 말이다. 이 말을 한 사람이 누구든, 그는 수익과 위험에 대해 알고 있었다. 어쩌면 세계 최초로 자산 배분을 주창한 사람일지도 모른다. 1) 분산투자의 효과 자산 배분의 역사는 오래됐지만, 자산 배분 전략을 계량적으로 투자에 활용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1952년 해리 마코위츠가 발표한 「포트폴리오 선택(Portfolio Selection)」이라는 논문이 그 시작이다. 이 논문에서 그는 다른 형태의 수익률을 보이는 투자 상품을 결합하면 포트폴리오의 내부 변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는 수학적 모델을.. 2022. 2. 17.
왜 투자를 해야할까? 저축과 투자의 차이점 돈을 모아보려고 하는데... 요즘 주식주식 하는데... 주식과 코인으로 손해보는 사람 많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 투자가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라면, 저축에는 위험이 따르지 않는 것일까? 예․적금은 은행에 내 돈을 빌려준 것과 마찬가지라서, 은행은 그 대가로 이자를 준다. 그런데 이자가 인플레이션을 쫓아가지 못할 경우에는 화폐 가치가 떨어져 구매력을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예․적금 역시 리스크가 따른다. 저축과 투자의 차이 저축은 예정된 날짜에 정해진 원금과 이자를 확실하게 회수하여 계획했던 미래의 소비에 사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저축을 통해 현재의 소비를 미래로 미룬 대가로 받는 것이 이자다. 최근 금리가 떨어지면서 저축 이자율이 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미래에 확실한 현금흐름이 보장되는 것은 분명.. 2022. 2.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