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학공부5

금리와 주식시장을 움직이는 큰 경제변수들 1. 주가와 금리, 경기가 좋아지면 상승하고 나빠지면 하락한다. 금융시장 참여자는 경기 예측을 통해 채권이나 주식을 매입하거나 매도한다. 경기가 좋아지고 소득이 늘어나 수요가 증가하면 더 많은 사람이 돈을 빌려서 사업을 시작하고, 설비 투자를 확대하며, 기업에 투자하려 할 것이다. 주식시장에는 호재로 작용하지만, 돈의 수요가 많아지면 시중금리는 올라서 채권 가격은 하락한다. 반면 경기가 나빠지면 돈을 빌려 생산하거나 투자하려는 사람이 줄고 기업의 수익성이 감소하여 주식시장에는 악재로 작용하며, 돈의 수요가 감소해 시중금리는 하락하여 채권 가격이 오를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경기가 좋아지면 주가는 상승하지만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경기가 나빠지면 주가는 하락하지만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 경기 또는 경제 상황.. 2022. 4. 2.
미국 금융(주식)시장을 좌우하는 통계 4가지 전 영국 수상인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언젠가 “거짓말에는 세 가지 종류가 있다. 그냥 거짓말, 새빨간 거짓말, 통계학이 거기에 해당한다”고 주장한 적이 있습니다. 통계학적으로 말하면 경제학 자료는 완벽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 시장을 움직이는 숫자 4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1. 실업률 여러분이 실업자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직장에서 나와 이리저리 둘러보고 다니면 미국 노동부는 실업자로 간주합니다. 하지만 직장에서 나와 하루 종일 소파에 앉아 빈둥거리면 실업자가 아닙니다.(아직까지는 게으름을 집계하는 통계학은 없습니다.) 미국노동부는 매달 설문조사와 통계법을 활용해 직장에서 나온 시민들이 몇 명인지를 계산합니다. 그렇게 해서 산출된 비율은 실업률로 알려져있습니다. 실업률이 올라가.. 2022. 3. 28.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③ - 나라 경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feat. 맨큐의 경제학) 개별적인 의사결정과 상호작용이 모여 하나의 “나라 경제”를 이룬다. 다음의 세 가지 기본 원리는 나라 경제가 어떻게 움직이는가에 관한 것이다. 8. 한 나라의 생활수준은 그 나라의 생산 능력에 달려 있다. 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 생활수준의 차이는 엄청나다. 미국의 GDP와 나이지리아는 40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커다란 소득 격차는 삶의 질을 측정하는 다른 지표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고소득 국가의 국민들은 더 많은 IT 기기를 보유하고, 더 좋은 영양 상태와 의료 혜택, 더 긴 평균 수명을 누리고 있다. 이처럼 국가 간 국민소득 격차나 오랜 시간에 걸친 한 나라의 국민소득의 차이는 왜 발생할까? 그 해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국민 생활수준의 변화는 거의 모든 경우 국가 간 생산성 차이, 즉 단위노동 투입.. 2021. 12. 23.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② - 사람들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가? (feat. 맨큐의 경제학)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내리는 의사결정은 우리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아래 세 가지 원리는 사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에 관한 것이다. ◇ 사람들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가? 5. 자유거래는 모든 사람을 이롭게 한다. 일본이 세계시장에서 미국의 강력한 경쟁국으로 등장했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미국 기업들과 일본기업들이 같은 상품을 많이 생산하기 때문에 이것은 어느정도 사실이다. 미국의 포드와 일본의 도요타는 자동차시장에서 동일한 고객을 대상으로 경쟁한다. 미국의 애플사와 일본의 소니사도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시장에서 경쟁한다. 그러나 국가 간의 경쟁에 대해 오해하면 안된다. 미국과 일본의 무역은 운동경기와 같이 한쪽이 승리하면 다른 쪽은 패배하는 관계가 아니다... 2021. 12. 21.
경제학의 10대 기본원리 ① -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feat. 맨큐의 경제학) “경제”란 신비로운 것이 아니다. 경제란 살아가면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일컫는 말이다. 한 경제의 움직임은 그 경제를 구성하는 사람들의 움직임을 나타낸다. ◇ 사람들은 어떻게 결정을 내리는가? 1. 모든 선택에는 대가가 있다. 우리는 무엇을 얻고자 하면, 그 대가로 무엇을 포기해야 한다. 의사결정도 마찬가지로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어떤 목표를 포기해야 한다. 개인이던 사회든 중요한 자원을 우선순위로 어떻게 선택하고 포기하는지가 중요하다. 사람들이 항상 선택을 해야 한다는 사실 그 자체가 사람들이 어떤 의사결정을 내릴지,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 지 말해주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심리학 공부를 포기하면 경제학을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난다고 해서 심리학 공부를 포기해야 한다는 .. 2021. 12.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