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투자6

정채진님의 투자 전략의 좋은 부분 리마인드. 1. 자신의 능력 범위안에서 투자하되, 점진적으로 능력의 범위를 넓혀나가라. : 내가 아는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하고 모르는 것은 섣불리 판단하지 않는 사고와 태도를 말한다. 투자자 마다 지식과 경험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능력의 범위 역시 다를수 밖에 없다. 기회가 될때마다 산업 하나하나 기업하나하나를 완전히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면 시행착오를 거쳐 경험을 쌓으면서 능력의 범위를 자연스럽게 넓힐 수 있다. 2. 애매모호한 투자 대상은 흘려보내고, 치기 쉽고 좋은'공'을 노려라. : 기업의 방향성이 불확실하고 앞날이 예측되지 않는데도 단순히 몇가지 지표상으로 싸보인다고 해서 투자하면 안된다. 이런 기업은 투자해보야 비중을 높일수 없고 조금 오르면 팔아버리게 된다. 경험이 부족한 투자자는 좋지 않은 기업들에 물려.. 2023. 6. 24.
시장을 대하는 태도와 안전한 주식 투자 방법 버핏클럽 정채진님의 내용에서 인사이트 되는 글이 있어 남기려고 한다. 더불어 이제까지 내가 투자 했던 실패와 깨달음을 함께 기록해본다. 1. 자신의 능력 범위안에서 투자하되, 점진적으로 능력의 범위를 넓혀나가라. 내가 아는것과 모르는 것을 구별하고 모르는 것은 섣불리 판단하지 않는 사고와 태도를 말한다. 투자자 마다 지식과 경험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능력의 범위 역시 다를수 밖에 없다. 기회가 될때마다 산업 하나하나 기업하나하나를 완전히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면 시행착오를 거쳐 경험을 쌓으면서 능력의 범위를 자연스럽게 넓힐 수 있다. 내가 애매모호하게 알아도 투자하는데에 이정도만 알면 되겠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자세히 알아야 하고 정확하게 미래에 대한 확신을 느낄 수 있도록 능력을 업 시키자. 2. 애매.. 2023. 5. 7.
주식 투자가 어려운 이유? 예전에 인덱싱 해놓은 고PER를 모르는 남자 '자이노'님께서 주식투자는 왜 어려울까라는 글을 다시 내 나름대로 재해석 해야 겠다고 다짐했다. 1. 지금 환경에서는 주식을 잘 할 수 없다. 주식투자 100억 이상 부자가 700명, 이 수치는 주식투자로 100억 이상을 벌어들인 것이 아니고 주식 잔고에 100억이 있는 사람일 것이다. 과연 나라면 주식으로만 100억을 벌 수 있을까? 대한민국 인구 중에서 700명이니 분명 직장인 투자자는 아닐 것 같다. 적어도 내 주변에 있지는 않을듯. 그럼 주식을 배우기 위해서 이리저리 활동을 한다고 하자. 오픈채팅방, 리딩방 그 곳에 주식 고수가 있을까? 주식 고수가 리딩을 할리가 없다. 그리고 찐 주식고수가 유튜브를 통해 강의를 한다고 치자, 그 유튜브를 통해 유명해지.. 2023. 4. 6.
주식투자의 마음가짐, 금융 사기 피해 유형.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한다. 투자도 역시나 그렇다. 욕심(기대 수익률)이 본인이 아는 것보다 더 크다면, 위험(손실 가능성)을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남들처럼 빠른 투자를 하지 못하면 ‘나만 못 벌고 있다’ 또는 ‘나만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며 불안해 하기도 쉬워진다. 욕심이 크다면, 투자에 대한 기회비용을 간과하기 쉽기 때문에 투자금의 성격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하기가 쉽다. 투자는 손실 확률과 수익 확률의 합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확률의 합은 ‘1’이지만, 언제나 수익이 나에게 돌아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반드시 반대의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손실과 손해에 대해 분명히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손실은 투자 의사결정에 따른 마이너스 수익을 의미하는 것이고, 손해는 금융.. 2022. 3. 27.
주식, 분산 투자를 꼭 해야 하는 이유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돈을 셋으로 나누게 하되, 3분의 1은 토지에, 3분의 1은 사업에 투자하게 하고, 나머지 3분의 1은 예비로 남겨두게 하라.” 이는 2,000년 전에 쓰여진 《탈무드》에 나오는 말이다. 이 말을 한 사람이 누구든, 그는 수익과 위험에 대해 알고 있었다. 어쩌면 세계 최초로 자산 배분을 주창한 사람일지도 모른다. 1) 분산투자의 효과 자산 배분의 역사는 오래됐지만, 자산 배분 전략을 계량적으로 투자에 활용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1952년 해리 마코위츠가 발표한 「포트폴리오 선택(Portfolio Selection)」이라는 논문이 그 시작이다. 이 논문에서 그는 다른 형태의 수익률을 보이는 투자 상품을 결합하면 포트폴리오의 내부 변동성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는 수학적 모델을.. 2022. 2. 17.
주식농부 박영옥의 투자 원칙, 성공과 실패 경험담 ‘주식농부’의 24시간 주식 투자 루틴이 궁금합니다. 일단 저에게 ‘투자’란 특별 활동이라기보다 생활입니다. 저는 24시간을 편안한 마음으로 보내요. 시세와 주가의 흐름 정도는 간단히 체크하지만, 하루 종일 핸드폰을 붙잡고 시시각각 변하는 주가에 매달리는 그런 행동은 하지 않습니다. 제 주위에 그런 사람들이 있어요. 주식을 할 시간이 없어서 못한다는 사람들이요. 근데 이건 주식을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방증입니다. 기업을 찾는 ‘시간’, 기업을 공부하는 ‘시간’이 없다는 얘기라면, 그건 납득이 가요. 그런데 주식을 사고 팔 시간이 없다는 것이라면 이해가 잘 안돼요. ‘주식을 사고팔아야 돈을 번다’는 그 개념 자체가 잘못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돈을 잘 버는 기업을 찾아서 투자를 해 놓으면 그 기업이 돈을 벌.. 2022. 2. 16.
728x90
반응형